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선관위에서 불거진 '아빠찬스' 의혹 논란, 고위 간부 자녀들이 공교롭게도 선관위 경력직에 채용돼 불거졌습니다.<br> <br>이들의 임용 당시 최종 승인을 누가 했는지 살펴봤더니 아버지들이었습니다.<br> <br>그러니까 '셀프 결재'가 이뤄진 셈입니다. <br> <br>유승진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박찬진 중앙선관위 사무총장의 딸 박모 씨는 지방 공무원으로 근무하다 지난해 3월 전남 선관위 경력직에 채용됐습니다. <br> <br>시·도 선관위 경력 채용은 자체 선발 뒤 중앙선관위 사무차장의 최종 승인을 받게 돼있습니다. <br><br>채널A가 당시 결재선을 입수했더니, 박 씨 경력채용 승인의 최종 결재자는 당시 중앙선관위 사무차장이었던 아버지 박찬진 사무총장이었습니다.<br> <br>[박찬진 / 중앙선관위 사무총장 (지난 16일)] <br>"직장을 그만두던지 휴직을 하든지 해라. 내가 있는 동안에는 선관위 와선 안 된다. 절차와 규정에 따라서 왔다고 하더라도 국민의 눈높이에 맞지 않는…" <br><br>지난해 감사를 받은 김세환 전 사무총장의 아들도 선관위 경력채용 당시 최종 결재자가 아버지 김 전 사무총장이었습니다.<br> <br>자녀 채용을 셀프 결재한 셈입니다. <br> <br>[이만희 / 국민의힘 의원] <br>"본인이 결재권자가 되는 것인데 지극히 부적절하다고 생각하고, 감사원 등 외부감사를 받는 것이 저는 맞다고 생각합니다." <br><br>중앙선관위는 "6급 이하 채용은 모두 사무차장 전결로 처리한다"며 "형식적인 절차일 뿐"이라고 해명했습니다.<br> <br>특혜 채용 논란이 확산되자 선관위는 자체 감사 중입니다. <br><br>제주선관위 상임위원 자녀 채용 의혹까지 추가로 불거지면서 특별감사위원회 인원을 당초 10명에서 두 명 더 늘렸습니다.<br> <br>하지만 여당은 자체 감사는 면피용일뿐이라며 감사원 감사를 주장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김기태 홍승택 <br>영상편집 : 이혜리<br /><br /><br />유승진 기자 promotion@ichannela.com